교육과정 목표 및 기본방향 
Triple-Gear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체계 교육과정 목표 -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스포츠레저 시장의 수요와 요구, 그리고 학문적 필요성과 학생의 니즈(needs)에 부합할 수 있는 실무형·맞춤형 전공교육
-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국내 최고의 스포츠레저 인재 양성 플랫폼 구현
- Top-tier 스포츠레저 인재양성을 위한 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실무형 교육과정 구성과 산업현장의 Needs를 만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모델 개발
교육과정 기본방향 - 스포츠레저 직무기반 교육과정 개발
- 융복합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개발
- NCS(National Competency Standard, 국가직무능력표준) 기반 스포츠∙레저 직무분석
- 스포츠∙레저 역량강화 교육과정 구성
- 학문적 필요성에 부합하는 창의선도형 전공핵심교육과정
-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산학협동형 전공특화교육과정
- 학생의 눈높이에 맞춘 역량보완형 비교과교육과정
- 스포츠∙레저 컨버전스 확산 교육과정 운영
- 우리 대학 전공운영 체계와의 정합성 확보
- 전공교과와 비교과 간 유기적 연계성 강화 및 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
교과목 체계의 우수성 교과목 체계의 우수성 | 차별화 내용 |
---|
융복합성(Convergency) | 스포츠 및 레저분야의 융복합을 통한 전문성 제고 |
---|
독창성(Originality) |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의 시간적·공간적 적절성과 함께 동계올림픽 레거시 오너로서의 우리 대학의 사회적 책무에 부합되며, 타 대학과 차별되는 특성 |
---|
실효성(Effectiveness) |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 및 지역특화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인재양성사업단의 목표 구현 가능성 제고 |
---|
현장적용성(Applicability) |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으로 스포츠레저 직무에 부합하는 인력 양성 및 현장밀착형 적용능력 배양 |
---|
정합성(Consistency) |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방향에 부합하며, 우리 대학 중장기발전계획에 제시된 추진전략과의 정합성 확보 |
---|
교육과정 운영 방안- 졸업에 필요한 이수학점은 총 130학점 이상이며, 전공 65학점 이상, 교양 34학점 이상(교양필수 18학점, 학부지정 교양선택 16학점 포함)을 이수하여야 한다.
- 전공이수학점에서 복수전공자는 주 전공 42학점, 복수전공 42학점을 이수한다.
- 졸업 자격에 대한 사정의 방법으로 졸업실기고사(5개 종목)를 시행한다.
- 졸업실기고사는 매년 11월에 실시하며, 각 종목별 70점 이하는 불합격 처리한다.
교육과정 역량 정의 공통기초 역량 정의 학부공통기초역량 | 내용 설명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스포츠 종목별 기초 운동기술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|
---|
전공목표 역량정의 구분 | 역량 | 역량설명 |
---|
핵심
기초 | OC6. 기초실기능력 | 스포츠 종목별 기초 운동기술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| 전공
기초
심화 | OC8. 운동수행 능력 | 스포츠 종목별 경기기술을 구사하고, 실전경기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스포츠 종목별 경기규칙 및 경기방법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| 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하고, 사회체육 현상을 분석·평가할 수 있는 능력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사회체육관련 전문지식을 활용한 현장실무 능력 |
역량별 수행준거구분 | 역량 | 수행준거 |
---|
핵심
기초 | OC6. 기초실기능력 | 스포츠 종목별 기초 및 응용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 전공
기초
심화 | OC8. 운동수행 능력 | 스포츠 종목별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스포츠 종목별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 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스포츠 종목별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 스포츠 종목별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 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 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스포츠 종목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 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교육과정편성표 (1~2학년) 교육과정편성표 (3~4학년) 이수체계도 
학습성과와 교과목간의 상관관계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(Leisure and Recreation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(Leisure and Recreation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현대사회에서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이 지니는 가치 및 역할을 이해하고 여가행동의 이론 및 특성을 비교·분석 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여가의 개념, 이론, 역사, 특성, 기능, 계획, 수요와 공급, 향후 전망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25% | 스포츠 종목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현대스포츠의 이해 (Principles of Physical Education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현대스포츠의 이해 (Principles of Physical Education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체육 및 스포츠의 발달, 이념, 목적과 목표 및 내용 등을 고찰하고, 과학적인 접근방법을 통하여 체육 및 체육학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/연구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의 발달, 특성, 구성내용, 스포츠미디어, 스포츠행사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25% | 스포츠 종목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스포츠사회학 (Sociology of Sport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사회학 (Sociology of Sport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와 사회의 상호관계에 연구목적을 두고 스포츠장면에서 일어나는 행동유형과 사회과정을 스포츠의 구조와 스포츠 활동이 존재하는 일반 사회구조의 측면을 탐색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사회학의 이론, 스포츠와 사회제도, 사회과정, 사회조직의 관계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50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50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체육사 (History of Physical Education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체육사 (History of Physical Education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각 시대적 변천과정에서 체육의 개념, 목적, 내용, 태도 등을 고찰함으로써 체육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규명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체육의 시대적 변천과 발전 과정, 현대적 의의 및 시사점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체조 (Gymnastic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체조 (Gymnastic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체조는 전신의 조화와 신체의 균형 있는 발달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운동이다. 특히 매트운동에 관한 이론적 이해와 기초기술을 체득하는 것은 신체상의 결함이나 부족한 점을 바로잡고 보충하여 균형 있는 신체발달을 꾀하는데 도움을 준다. |
---|
교과 내용 | 체조의 특성, 매트운동의 기초기술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75% | 기초 및 응용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종목별 경기규칙과 경기방법을 인지한다. |
---|
종목별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운동생리학 (Exercise Physiology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운동생리학 (Exercise Physiology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운동생리학은 운동으로 초래되는 생리적 기능의 변화와 그 원인을 살펴보고 여러 형태의 운동에 의한 반응과 적응이 인체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측면, 운동수행력과 건강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이해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운동에 따른 생리적 기능 변화, 인체의 해부학적 이해, 운동과 건강의 관계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응용방법을 인지한다. |
운동역학 (Sports Biomechanic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운동역학 (Sports Biomechanic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인간의 움직임에 물리학, 인체측정학, 생리학, 해부학 등의 기초 지식을 적용시켜 신체운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며, 이를 토대로 체력 증진과 운동수행능력 신장 그리고 상해예방을 위한 과학적 사고를 갖게 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운동의 역학적 이해, 체력 증진과 운동수행능력 향상, 상해예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응용방법을 인지한다. |
스포츠탐색Ⅰ (Sports explorationⅠ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탐색Ⅰ (Sports explorationⅠ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레저학부 전공 학생들의 교과과정에 필요한 기본소양의 배양과 실기기능을 지속적으로 연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이론과 실기능력을 갖춘 지도자 양성에 힘쓴다. |
---|
교과 내용 | 학부 교과과정에 필요한 기본소양 배양, 실기 스포츠의 소개 및 실기능력 배양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75% | 다양한 스포츠 종목의 기초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종목별 경기규칙과 경기방법을 인지할 수 있다. |
---|
종목별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스포츠탐색II (Sports exploration II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탐색II (Sports exploration II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레저학부 전공 학생들의 전공심화 교과과정에 필요한 소양의 배양과 전문실기기능을 지속적으로 연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이론과 전문실기능력을 갖춘 지도자 양성에 힘쓴다. |
---|
교과 내용 | 학부 교과과정에 필요한 기본소양 배양, 실기 스포츠의 소개 및 실기능력 배양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75% | 스포츠 종목별 기초 및 응용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종목별 경기규칙과 경기방법을 인지할 수 있다. |
---|
종목별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농구 (Basketball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농구 (Basketball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농구의 기초기술 및 응용기술을 학습하고 경기수행 능력을 향상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농구의 기초기술, 응용기술, 경기전술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50% | 농구의 기초 및 응용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25% | 농구의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농구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 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농구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농구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
수영 (Swimming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수영 (Swimming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수영은 기본 영법(자유형, 배영, 평영, 접영)을 익히고 기술을 향상시키며, 수영의 기본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수영의 기본 영법, 기본규칙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75% | 기초 및 응용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종목별 경기규칙과 경기방법을 인지할 수 있다. |
---|
종목별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테니스 (Tenni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테니스 (Tenni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테니스의 단·복식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응용기술(스트로크, 서브 등)과 경기규칙, 매너 등을 습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테니스의 기초기술, 응용기술, 경기규칙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75% | 테니스의 기초 및 응용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테니스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테니스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
야외활동 (Outdoor Activity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야외활동 (Outdoor Activity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자연환경 속에서 학술, 취미, 레크리에이션 등의 활동을 통하여 심신을 단련하고 단체생활에 필요한 생활태도를 형성하며 자연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. |
---|
교과 내용 | 야외활동의 개념적 이해, 필요성 및 목적, 직접적 경험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75% | 자연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레크리에이션, 심신 단련, 단체 활동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지도할 수 있다. |
---|
스키 (Ski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키 (Ski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키는 대표적인 동계스포츠로서 설원에서 호흡하며 신체적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는 대중적 스포츠종목이다. 이러한 스키의 기본 및 기초기술을 익히는데 중점을 둔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키의 역사와 개요, 이론, 다양한 기술 실습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6. 기초실기능력 | 75% | 기초 및 응용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경기규칙과 방법 및 기술수행 요령을 인지한다. |
---|
스포츠심리학 (Psychology of Sport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심리학 (Psychology of Sport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경기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스포츠현장에 있어서 개인의 운동수행 및 팀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심리적 기술과 방법을 습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심리학의 개념, 이론, 기술 및 방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사회체육개론 (Sport and Leisure Studie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사회체육개론 (Sport and Leisure Studie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사회체육의 바람직한 정착과 발전을 위하여 사회체육의 역사, 특징, 대상 및 영역, 필요성 그리고 시설관리 등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사회체육의 개념, 특성, 영역, 관리사항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스포츠시설관리론 (Seminar on Facilities of Sport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시설관리론 (Seminar on Facilities of Sport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공간적·물리적 환경인 사회체육시설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하여 학습하고 사회체육 시설의 기본개년과 유형, 그리고 각종 스포츠 용 기구 및 용품의 제 규격과 설비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시설 관리론의 개념, 이론, 스포츠시설 관리의 실제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✓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배드민턴 (Badminton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배드민턴 (Badminton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실기와 이론을 통하여 경기규칙, 기초기술, 응용기술, 지도방법, 심판법 등을 익힌다. |
---|
교과 내용 | 배드민턴의 기초 및 응용기술, 경기전술, 심판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배드민턴의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배드민턴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 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배드민턴의 경기규칙과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배드민턴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테니스전술 (Tennis Tactic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테니스전술 (Tennis Tactic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테니스의 경기기능을 습득하고, 경기전술 및 전략을 활용하여 실전 경기능력을 배양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테니스의 기초 및 응용기술, 경기전술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테니스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 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테니스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테니스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해양스포츠 (Water Sport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해양스포츠 (Water Sport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수상스키, 윈드서핑, 조정, 카누, 요트 등 강이나 바다에서 행할 수 있는 스포츠종목에 대한 이론 및 실기교육과 안전교육을 통하여 레저스포츠를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해양스포츠의 영역, 특성, 기술, 안전교육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해양스포츠의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해양스포츠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 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해양스포츠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해양스포츠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해양스포츠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생활무용 (Social Life Dance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생활무용 (Social Life Dance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생활무용에 관한 이론 및 특성을 이해하고, 생활무용의 유형과 동작을 이해하고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생활무용의 개념, 기초 기술, 지도방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75% | 생활무용의 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생활무용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생활무용을 지도할 수 있다. |
사회체육프로그램론 (Theory of Program For Sport & Leisure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사회체육프로그램론 (Theory of Program For Sport & Leisure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실시되고 있는 사회체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파악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사회체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도와 관련하여 이론적, 실제적 접근을 병행하여 학습하여 현장 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을 함양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사회체육프로그램론의 이론, 영역, 지도방법, 현장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스포츠 종목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사회체육지도론 (Leadership in Mass sport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사회체육지도론 (Leadership in Mass sport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효율적인 사회체육지도를 위한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고, 이를 바탕으로 사회체육지도자로서의 자질을 습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사회체육지도론의 이론, 영역, 지도방법, 현장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스포츠 종목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축구 (Soccer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축구 (Soccer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축구의 역사, 경기방법과 규칙 및 기초기술을 이해하고 각종 전술 및 지도방법을 습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축구의 기초기술, 응용기술, 경기전술, 지도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축구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축구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---|
스쿼시 (Squash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쿼시 (Squash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쿼시의 개요, 역사, 경기방법 및 규칙에 관한 지식과 스쿼시의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실기교육을 통하여 스쿼시 기능 및 전술 그리고 지도방법을 습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쿼시의 역사, 기초 및 응용기술, 전술, 지도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스쿼시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스쿼시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---|
빙상 (Speed Skating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빙상 (Speed Skating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빙상의 기초기술, 경기방법, 심판법 및 지도법을 익힌다. |
---|
교과 내용 | 빙상의 기초기술, 경기방법, 지도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빙상의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빙상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빙상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빙상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빙상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사회체육조사방법론 (The Practice of Sport for All Resarch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사회체육조사방법론 (The Practice of Sport for All Resarch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사회 및 행동과학에서 다루는 다양한 연구·조사 방법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익히고 이를 통해 기존의 연구를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·조사 방법을 선택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사회체육조사방법의 개념, 영역, 기법, 연구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스포츠와 사회복지 (Sport and Social Welfare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와 사회복지 (Sport and Social Welfare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, 현대사회에서의 여가 및 스포츠가 주는 의미, 선진국의 스포츠복지 정책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와 사회복지의 배경, 이론, 영역, 정책, 실천사례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스포츠정책론 (Sport policy studie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정책론 (Sport policy studie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정책의 기본 개념과 스포츠정책의 유형 및 효과 그리고 외국의 스포츠 정책을 비교·분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정책론의 개념, 이론, 영역, 외국의 스포츠정책 비교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체육측정평가 (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체육측정평가 (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표준화된 척도를 이용한 신체계측을 비롯하여 운동능력, 운동기술, 체력요인 등을 측정하고 평가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체육측정평가의 영역, 방법, 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체육측정평가의 원리를 이해한다. |
---|
체육측정평가의 적용방법을 인지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건강 및 신체활동 향상을 위한 보조기법을 발휘할 수 있다. |
---|
탁구 (Table Tenni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탁구 (Table Tenni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탁구의 역사 및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기초기술 및 응용기술과 경기운영능력 등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탁구의 역사, 기초 및 응용기술, 경기전술, 지도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탁구의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탁구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 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탁구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탁구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탁구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유아체육 (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유아체육 (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활발한 신체의 움직임을 수반하는 놀이를 통한 유아체육의 목적과 가치를 이해하고 유아체육의 교육적 역할과 기능을 이론과 실제를 통해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유아체육의 필요성, 이론, 지도법, 현장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유아체육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현장실습 (Filed Research and Practice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현장실습 (Filed Research and Practice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 현장에서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신체적 기술을 익힌다. |
---|
교과 내용 | 현장실습의 중요성, 이론, 실무능력, 업무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100% | 경쟁자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미래전략을 예측하고, 스포츠고객의 니즈를 분석할 수 있다. |
---|
스포츠경영관리 활동을 분석 및 평가하고,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. |
사회체육행정관리론 (Administration of Sport and Leisure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사회체육행정관리론 (Administration of Sport and Leisure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사회체육지도자가 알아두어야 할 행정관리, 조직관리, 프로그램 관리 등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사회체육행정관리의 영역, 이론, 프로그램, 현장 사례비교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비만과 운동 (Obesity & Exercise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비만과 운동 (Obesity & Exercise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비만진단,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특히 비만치료를 위한 운동방법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비만 진단법, 비만 치료를 위한 운동의 이론 및 방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무도 (Martial Art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무도 (Martial Art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무도의 특성과 실기방법 및 효과를 이해하고 기초기능, 응용기능 및 전문기능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무도의 특성, 영역, 기초 및 응용기술, 대련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75% | 무도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 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무도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
---|
승마 (Horse Riding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승마 (Horse Riding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말 다루기 방법과 승마방법에 관한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|
---|
교과 내용 | 말 다루는 법, 승마의 이론과 기술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75% | 승마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 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승마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뉴스포츠 (New Sport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뉴스포츠 (New Sport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전통적 스포츠 영역과 비교되는 새로운 스포츠세계를 경험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뉴스포츠의 등장배경, 영역, 기술, 실천, 전통스포츠와 뉴스포츠의 비교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75% | 스포츠 종목별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스포츠 종목별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 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스포츠종목별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종목별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
사회체육조직론 (The Practice of Sport for All Research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사회체육조직론 (The Practice of Sport for All Research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지역단위의 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중요성을 인식하고 클럽을 운영, 조직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사회체육조직의 필요성, 역할, 스포츠클럽 운영 및 조직 방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7. 기초학문능력 | 25% | 스포츠과학의 기초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지식을 사회체육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. |
---|
패러글라이딩 (Paragliding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패러글라이딩 (Paragliding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패러글라이딩의 항공법, 장비법 등의 기본이론과 초급비행을 통한 항공기 이륙법, 착륙법, 조정법 등에 대한 기능을 익힌다. |
---|
교과 내용 | 패러글라이딩의 특성, 기초기술, 이륙 및 착륙법, 조정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페러글라이딩의 경기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. |
---|
페러글라이딩의 경기 기술 및 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할 수 있다. | 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페러글라이딩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페러글라이딩의 경기방법을 이해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페러글라이딩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페러글라이딩을 지도할 수 있다. |
소프트볼 (Softball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소프트볼 (Softball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소프트볼의 역사, 경기방법 및 규칙에 관한 지식을 이해하고 기초전술과 지도방법을 습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소프트볼의 역사, 기초기술, 경기방법, 지도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50% | 소프트볼의 경기기술 및 경기전술을 활용하여 실전경기를 수행 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소프트볼의 경기규칙을 이해한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소프트볼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현장에서 소프트볼을 지도할 수 있다. |
스포츠마케팅론 (Sports Marketing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마케팅론 (Sports Marketing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와 관련된 산업과 조직에 응용될 수 있는 과학적인 마케팅 개념과 실제적용 사례를 통해 스포츠 마케팅의 이론적 실질적 방향을 제시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마케팅의 개념, 원리, 기획, 응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응용방법을 인지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스포츠경영관리 활동을 분석 및 평가하고,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. |
---|
스포츠이벤트기획론 (Planning of Sports Event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이벤트기획론 (Planning of Sports Event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올림픽, 월드컵대회, 각종 스포츠관련 행사의 기획 전반에 관한 실무를 학습하고 경험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이벤트기획론의 개념 및 이론, 기획, 실무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응용방법을 인지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경쟁자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미래전략을 예측하고, 스포츠고객의 니즈를 분석할 수 있다. |
---|
스포츠경영관리 활동을 분석 및 평가하고,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. |
스포츠산업론 (Sports Industry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스포츠산업론 (Sports Industry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스포츠 산업의 개념과 체계, 그리고 영역을 이해하고 장차 스포츠 산업에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스포츠산업론의 개요 및 개념, 스포츠산업의 영역을 이해하고 다양한 지식 습득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스포츠과학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스포츠과학의 응용방법을 인지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경쟁자 분석틀을 이용하여 미래전략을 예측하고, 스포츠고객의 니즈를 분석할 수 있다. |
---|
스포츠경영관리 활동을 분석 및 평가하고,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. |
골프특강 (Golf Seminar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골프특강 (Golf Seminar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골프동작의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 및 전문기술을 익힘으로써 실기능력과 과학적 지도능력을 겸비한 지도자적 자질을 함양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골프의 기초 및 응용기술, 경기방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8. 운동수행능력 | 75% | 경기규칙 및 경기운영방법을 활용하여 실전 경기를 할 수 있다. |
---|
OC9. 경기운영방법 습득 | 25% | 경기규칙과 방법 및 기술 수행 요령을 인지한다. |
---|
인체의 신비 (Human Mystery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인체의 신비 (Human Mystery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인체의 정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, 인간의 동작과 이에 수반되는 근육과 골격, 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기초 원리를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신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 이해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100% | 인체의 정적 구조에 대한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근육과 관절의 기능적 특성을 인지한다. |
트레이닝방법론 (Training Method For Advanced Sports Skills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트레이닝방법론 (Training Method For Advanced Sports Skills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최적의 신체조건을 구비하여 최상의 운동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생리적, 사회심리학적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트레이닝방법론의 영역, 이론, 방법, 지도법, 현장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트레이닝의 원리를 이해한다. |
---|
트레이닝의 적용방법을 인지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스포츠 종목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사회체육 현장에서 스포츠를 지도할 수 있다. |
건강교육론 (Health Education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건강교육론 (Health Education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건강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의 건강위해 요소를 분석하고, 이에 대한 대책수립 능력을 배양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건강의 개념과 건강관리의 중요성, 스포츠를 통한 건강관리 방법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75% | 건강관리의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OC11. 전문실무능력 | 25% | 건강증진 및 유지 기법을 발휘할 수 있다. |
---|
응급처치와 구급법 (First Aid & Rescue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응급처치와 구급법 (First Aid & Rescue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일상생활 및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과 구급법 적용 능력을 배양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응급처치와 구급법의 기술 및 적용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) / 실습(✓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25% | 응급상황에 대한 전문지식을 이해한다. |
---|
응급상황에 대한 처치기법을 인지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75% | 스포츠현장의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. |
---|
응급상황에서 구급법을 발휘할 수 있다. |
운동상해 (Sports Injury)교과목 프로파일 |
---|
교과목 명 | 운동상해 (Sports Injury) | 선수과목 | |
---|
교과 목표 | 스포츠 현장에서 다발하는 상해를 중심으로 상해 평가 및 스포츠재활 프로그램 운용 능력을 배양한다. |
---|
교과 내용 | 운동상해의 개념, 종류, 예방법, 스포츠재활 프로그램 운영 |
---|
교육 방법 | 이론(✓) / 실습() / 프로젝트 수행() / 토론() / 발표() / 팀 단위 학습() |
---|
역량/수행준거 정의 |
---|
역 량 | 가중치 | 수 행 준 거 |
---|
OC10. 스포츠과학적 사고능력 | 50% | 운동상해 발생 기전을 이해한다. |
---|
운동상해 예방법을 인지한다. | OC11. 전문실무능력 | 50% | 운동상해 평가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. |
---|
경기력회복을 위한 운동상해 처치법을 수행할 수 있다. |
졸업요건(졸업논문 대체 졸업실기고사 내규) 졸업대상자는 <표 1>의 졸업실기고사 종목 중 5개 종목의 실기와 구술을 합격해야 한다. 종 목 | 실기 | 구술 |
---|
테니스 | 포핸드, 백핸드 자세 및 정확도 | 테니스 규칙·용어 |
---|
축구 | 리프팅, 패스, 드리블, 슈팅 | 경기규칙 |
---|
농구 | 좌, 우 레이업 슛, 드리블 | 경기규칙 |
---|
체조 | 청소년체조, 물구나무서기 10초 이상 | 기계체조, 경기규칙 |
---|
골프 | 드라이버 5회 타격, 피칭웨이 5회 타격 | 골프규칙 |
---|
수영 | 자유형 100m 완주, 평형100m 완주 | 구술시험 |
---|
배드민턴 | 서브, 하이클리어, 드롭, 헤어핀, 스매싱 | 각 기술의 설명, 경기 규칙 |
---|
스쿼시 | 서비스 정확도, 포핸드 드라이브, 백핸드 드라이브, 발리, 보스트(동장 자세 및 정확도) | 단식 경기규칙 |
---|
[표-1] 졸업실기고사 종목 졸업실기고사 등급 판정은 A, B, C, D, F로 하며, 이 중 D, F는 불합격으로 처리한다. 졸업실기고사 종목을 대체할 수 있는 자격증 인정 및 면제 기준은 다음과 같다. - 자격증 인정여부는 자격증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한다.
- 재학 중에 취득한 자격증만을 인정한다.
- 체육과 관련된 자격증만을 인정한다.
- 졸업고사 자격증 대체 규정에 따라 대체 점수 1.0점당 1종목을 면제한다.
-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 2급 1개는 2종목을 대체한다(단, 제출된 자격증 종목과 동일한 종목에는 응시할 수 없으며, 중복 자격증은 인정하지 않는다).
-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 3급 1개는 1종목을 대체한다(단, 제출된 자격증 종목과 동일한 종목에는 응시할 수 없으며, 중복 자격증은 인정하지 않는다).
- 각종 체육관련 자격증 2개는 1종목을 대체한다(단, 제출된 자격증 종목과 동일한 종목에는 응시할 수 없으며, 중복 자격증은 인정하지 않는다).
- 스포츠경영관리사 자격증 1개는 2종목을 대체한다.
- 운동처방사(대한운동사회) 자격증 1개는 1종목을 대체한다.
- 졸업실기고사 수영종목 수영장 사용료는 실험실습비로 지급한다.
- 우리 학부 전공을 복수전공, 부전공으로 하는 타과 학생은 <표 1>의 졸업실기고사 종목 중 3개 종목을 선택하여 응시한다.
졸업실기고사 대체 인정 자격증 및 대체 점수는 <표 2>와 같다. 구분 | 발급처 | 자격증 명칭 | 대체 점수 |
---|
생활체육지도자, 경기지도자 | 문화관광부장관 | 1급 생활체육지도자 또는 1급 경기지도자 | 2.0 |
---|
2급 생활체육지도자 또는 2급 경기지도자 | 2.0 | 3급 생활체육지도자 | 1.0 | 스포츠경영관리사 | 한국산업인력공단 | 스포츠경영관리사 | 2.0 |
---|
운동처방사 | 대한운동사회 | 운동처방사 (개인운동사,재활운동사,임상운동사) | 전체자격취득 1.0 |
---|
개별자격취득 0.5 | 자격증심의위원회에서 인정하는 단체 | 운동처방사 | 0.5 | 심판자격증 (대한체육회 가맹(준가맹) 단체 발급) | 국제심판 | 1,2,3,4급 심판자격증 | 2.0 |
---|
국내심판 | 1급 심판자격증 | 2.0 | 2급 심판자격증 | 1.0 | 3급 심판자격증 | 0.5 | 스키지도자 및 패트롤 | 대한스키지도자연맹 | 데몬스트레이터 | 2.0 |
---|
레벨 3(정지도자) | 1.0 | 레벨 2(준지도자) | 1.0 | 레벨 1(뱃지) | 0.5 | 대한스키패트롤협회 | 스키패트롤 | 1.0 | 스킨스쿠버 | CMAS, PADI, NAUI | 인스트럭터 | 2.0 |
---|
마스터즈 | 1.0 | 어드밴스 | 0.5 | 오픈워터 | 0.5 | 골프 | KPGA, PGAK, KLPGA, USGTF | 투어프로(준프로) | 2.0 |
---|
티칭프로 | 1.0 | 무도(태권도, 유도, 합기도, 검도) | 국기원, 대한유도회, 대한합기도협회, 대한검도협회 | 사범지도자 | 1.0 |
---|
공인 4단 이상의 단증 | 0.5 | 트레이너 | 대한선수트레이너협회·대한스포츠의학회 | 선수트레이너 | 1.0 |
---|
한국선수트레이너협회 | 0.5 | 한국NCSF | 퍼스널트레이너 | 0.5 | 스포츠마사지, 테이핑, 카이로프락틱 | KATA, WCBTS,한국스포츠과학교육협회,한국스포츠산업개발원,한국체력건강관리협회,국제밸런스테이핑협회,한국운동재활협회,한국모션테이핑학회 | 스포츠마사지, 테이핑, 카이로프락틱 | 0.5 |
---|
유아체육, 노인체육, 재활체육 | 한국레크리에이션연합회,한국스포츠과학교육협회,한국운동재활협회 | 유아체육지도자 | 0.5 |
---|
한국노인체육협회 | 노인복지체육지도자 | 0.5 | 재활체육지도 | 0.5 | 한국운동재활협회 | 체형교정운동재활지도자 | 0.5 | 레크리에이션 |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협회 | 레크리에이션지도자 | 0.5 |
---|
한국레크리에이션연합회 | 유아레크리에이션지도자 | 0.5 | 응급처치 | 대한적십자 | 응급처치(심폐소생술)강사, 인명구조요원 | 0.5 |
---|
기타 | 해양경찰청 | 동력수상레저기구조정면허 | 0.5 |
---|
한국스카우트연맹 | 스카우트 훈육지도자 | 0.5 | 스포츠레저학부 수업과정에서 실시하는 자격증 취득 | 0.5 | 기타 스포츠레저학부 자격증 심사위원회에서 인정하는 체육관련 자격증 | 0.5 |
[표-2] 인정 자격증 및 대체 점수 ※ 모든 자격증은 관동대학교 재학 중에 취득한 것을 원칙으로 하며, 재학 중 외의 기간에 취득한 자격증 인정 여부는 자격증심사위원회에서 정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