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홈 > 대학원 > 석사과정
입학시험 1) 필기시험 필기시험은 다음 과목 중 3과목으로 한다. 인문․사회과학 전공자는 인문․사회과학분야 중 2과목, 자연과학분야 중 1과목, 자연과학 전공자는 인문․사회과학분야 중 1과목, 자연과학분야 중 2과목을 선택하여야 한다. 단, 필기시험의 과목은 학과교수회의를 통하여 변경 할 수 있다. 인문·사회과학분야 | 체육사, 체육철학, 스포츠사회학, 스포츠심리학, 스포츠경영학,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| 자연과학분야 | 운동생리학, 운동역학, 체육측정평가, 운동처방, 스포츠트레이닝 | 2)구술시험 서류전형 및 면접에 의해 전형할 경우의 구술시험과목은 1)과 같으나, 학과 교수회의를 통해 변경 할 수 있다. 전공구술 시험과목 | 인문·사회과학분야 | 체육사, 체육철학, 스포츠사회학, 스포츠심리학, 스포츠경영학,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| 자연과학분야 | 운동생리학, 운동역학, 체육측정평가, 운동처방, 스포츠트레이닝 | 면접 | 대학원 지원목적ㆍ전공에 관한 연구분야ㆍ체육의 현안 등에 대해 질문한다. 전공관련 각종 대회 입상자는 면접점수에 가산점을 부여한다. | 학점 이수 1) 필수과목 (1)공통필수과목 : 총 3P의 공통필수과목을 이수해야 한다. (2)전공필수과목 : 없음 2) 이수학점 공통필수과목(3P)과 전공선택 8과목(24학점)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. 3) 보충과목 타전공 입학자를 대상으로 하며, 주임교수 추천에 의해 학부의 다음 과목에서 9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. 트레이닝방법론, 사회체육프로그램론, 인체해부생리학, 체육측정평가, 체육원리, 체육심리학 | 종합시험 수강한 과목 중 전공분야를 포함한 총 3과목으로 한다. 논문지도 및 논문제출 -
논문계획서는 3학기에 제출한다. 단, 학과교수회의를 통하여 변경 할 수 있다. -
논문심사위원은 3인의 교수로 하되, 외부 심사위원 1명을 둘 수 있으며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학과회의에서 결정하여 위촉할 수 있다. -
논문심사는 총 3회에 걸쳐서 실시하며, 심사일은 주임교수가 학사일정을 감안하여 정한다. -
논문의 통과는 교수회의에서 정한 심사위원 3명 중 2명 이상의 찬성으로 한다. 개설 교과목 1) 교과목 구성 이수구분 | 연구분야 | 교과목명 | 학점 | 강의-이론-실습 | 학석사 연계과정 | 선수과목 | 공통필수 | 공통 | 석사논문지도Ⅰ | P | | | | 석사논문지도Ⅱ | P | | | | 석사논문지도Ⅲ | P | | | | 전공선택 | 인문 사회과학 | 체육사연구 | 3 | 3 - 3 - 0 | 연계 | | 체육철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사회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심리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교육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경영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연구 | 3 | 3 - 3 - 0 | 연계 | | 전공선택 | 인문 사회과학 | 사회체육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정책론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관광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자연과학 | 운동생리학연구 | 3 | 3 - 2 - 1 | 연계 | | 운동역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체육측정평가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영양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운동처방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의학연구 | 3 | 3 - 3 - 0 | | | 스포츠트레이닝연구 | 3 | 3 - 3 - 0 | | | 특수체육연구 | 3 | 3 - 2 - 1 | | | 연구방법론 | 체육학연구법 | 3 | 3 - 3 - 0 | | | 체육통계학 | 3 | 3 - 3 - 0 | | |
2) 교과목 해설 (1) 공통필수 - 석사논문연구 Ⅰ(Research Topics Ⅰ)
- 석사논문연구 Ⅱ(Research Topics Ⅱ)
- 석사논문연구 Ⅲ(Research Topics Ⅲ)
(2)전공선택 - 체육사연구(Studies i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)
체육의 역사적 개념 및 발전과정과 체육사에 대한 연구 영역 및 방법 등을 개괄적으로 연구하며, 역사를 통한 신체와 신체활동의 의미를 해석하고 미래 체육의 방향과 모습을 조명한다.
- 체육철학연구(Studies in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)
체육의 개념 및 가치, 본질, 윤리, 가치지향, 미적 체험 등과 관련한 제반 문제를 고찰하며, 체육의 현실과 이상을 철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.
- 스포츠사회학연구(Studies in Sociology of Sport)
스포츠와 사회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에 목적을 두고 스포츠 장면에서 일어나는 행동유형과 사회과정을 스포츠의 구조와 스포츠 활동이 존재하는 일반 사회구조의 측면에서 탐색한다.
- 스포츠심리학연구(Studies in Psychology of Sport)
인간 운동행위 및 스포츠 경기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소개하고 스포츠 현장에 있어서 개인의 운동수행 및 팀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심리적 기술과 방법을 연구한다.
- 스포츠교육학연구(Studies in Pedagogy of Sport)
스포츠교육 영역에서 체육수업 계획 및 시행, 체육교육과정, 체육교수법, 체육교사교육 등과 관련한 이론적 지식을 소개하고, 체계적으로 체육수업을 계획․수립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.
- 스포츠경영학연구(Studies in Sport Management)
최근 스포츠의 산업 및 사업 영역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이들 영역에 대한 경영적 지식 및 경험이 요구되고 있다. 본 교과를 통하여 스포츠경영의 이론, 특성, 유형, 분석, 기법 등을 연구한다.
-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연구(Studies in Leisure and Recreation)
현대사회에서 여가가 지니는 가치 및 역할과 여가행동의 이론 및 특성을 이해하고 현대여가의 기능을 순기능과 역기능적 관점에서 비교․분석한다. 아울러 현대 레크리에이션에 관한 이론적, 실제적 지식을 탐색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과 기술을 연구한다.
- 사회체육연구(Studies in Mass sport)
현대사회에 있어서 사회체육이 지니는 의미 및 가치와 사회체육의 주요 구성 요소 및 영역에 대하여 고찰하고 사회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, 실용적 지식을 연구한다.
- 스포츠정책론연구(Studies in Sport Policy Theory)
스포츠정책 연구에 대한 이론 및 방법을 탐색하고 스포츠정책의 유형 및 효과, 스포츠정책 평가의 개념 및 기준, 그리고 스포츠정책 분석의 기법 등을 연구한다.
- 스포츠관광 연구(Studies in Sport Tourism)
스포츠관광산업은 미래 유망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다. 국내 및 국외에서 행해지는 스포츠관광의 형태 및 현 상황을 연구한다.
- 운동생리학연구(Studies in Physiology of Exercise)
운동생리학의 이론적 기초를 이해하고 근육생리, 호흡생리, 순환생리, 신경생리, 에너지 대사를 중점 학습하여 운동과 관련된 인체의 생리학적 변화를 이해한다.
- 운동역학연구(Studies in Biomechanics of Sport)
인체의 내․외부에 작용하는 힘과 이 힘들에 의한 운동을 이해한다. 어떻게 하면 힘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원하는 동작이나 운동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가를 연구한다.
- 체육측정평가연구(Studies in Measurement &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)
체육의 학습활동을 측정․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적, 실제적 지식을 학습하고 표준화된 척도를 활용하여 신체 계측을 비롯한 체력, 운동 능력 및 성취도, 운동 기술 및 수준, 체육 이론 및 지식 등을 타당하고 효율적으로 측정․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다룬다.
- 스포츠영양학연구(Studies in Sport Nutrition)
일반 영양학의 기본 지식, 즉 영양소의 물리화학적 성질이나 각종 영양소의 체내기능, 함유식품, 필요량 및 과잉섭취의 부작용, 결핍증 등을 이해하여 이를 스포츠 영역에 적용하고 식생활과 건강, 운동과 영양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.
- 운동처방연구(Studies in Exercise Prescription)
건강 및 체력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건강체력 요인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(훈련)을 과학적으로 처방할 수 있는 이론 및 방법을 연구한다.
- 스포츠의학연구(Studies in Sport Medicine)
운동이나 스포츠 경기의 신체활동을 의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스포츠의학의 이론 및 연구영역, 유형, 특성, 실제 등을 연구한다.
- 스포츠트레이닝연구(Studies in Sports Training)
스포츠트레이닝의 과학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스포츠 종목별 특성을 고려하여 경기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스포츠트레이닝의 방법과 기술을 연구한다.
- 특수체육연구(Studie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)
지체부자유아와 정신박약아 등 심신 장애인을 위한 전문 스포츠 및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, 시설설치, 지도방법 등을 탐색하고 나아가 심신 장애인들이 체육활동을 통하여 재활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과 정책을 연구한다.
- 체육학연구법(Research Method of Sport Science)
체육학 연구에 필요한 방법론적 이해를 도모하고 연구문제 설정, 연구 설계, 자료 수집 및 처리, 결과 보고 및 결론 제시 등 연구의 방법과 기술적 문제를 학습한다.
- 체육통계학(Statistics of Physical Education)
체육학 연구에 사용되는 기초 및 중급 수준의 통계로서 각종 실험 및 도구에 따른 통계처리 및 해석 방법을 학습하고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처리 방법을 연구한다.
|
|